워드프레스 ads 문제 해결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현재 애드센스 승인과정 또는 잘 사용하고 있는 중 애드센스로부터 ‘수익 손실 위험‘이라는 문구를 접한 일이 있을 것입니다.

광고 송출은 원활히 작동되지만 내 사이트에 승인받은 애드센스 광고에 대한 내용을 적용해야 정확한 수익 배분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애써 정성어린 글을 쓰고 광고를 입힌 후 수익이 발생 하더라도 ads.txt 파일이 내 호스팅 공간에 없다는 이유로 수익 손실이 일어나는 불상사는 없어야 하겠지요.
워드프레스 ads 문제 해결 방법
내 웹 호스팅 공간에 ads.txt 파일 하나만 넣어주면 사실 모든 것이 끝납니다.
그래서 워드프레스에서 파일을 쉽게 업로드 하는 기능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FTP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업로드 하는 방법이 가장 직접적입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FTP 접속이 안되는 경우 또는 FTP 접속에 어려움을 느끼는 일이 있기 있으므로 간편하면서도 확실한 방법은 ads.txt 삽입을 도와주는 플러그인을 이용하면 됩니다.
ads.txt Manager 플러그인 사용하기
ads.txt Manager 플러그인은 위에서 언급한대로 FTP 접속이 힘든 사용자들을 위해 간편히 ads.txt 파일을 업로드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애드센스 사이트에서 왼쪽 메뉴 ‘사이트‘ 를 누르면 ads.txt 파일 만들기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다운로드 버튼을 누릅니다.
다운로드 받은 ads.txt 파일을 메모장 프로그램으로 열어 보면 아래와 같이 코드가 나옵니다.
google.com, pub-000000000000000000, DIRECT, f08c47fec0942fa0
애드센스 펍 코드가 담겨 있는 내용인데요. 승인 받은 광고 코드가 승인 받았던 워드프레스 사이트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파일을 추가해주는 것입니다.
그럼 이제 ads.txt 파일을 업로드 하기 위한 플러그인을 설치 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추가 화면에서 ‘ads.txt‘ 라고 검색하면 다양한 플러그인 종류가 나오는데요. 화면과 같이 녹색 체크 모양의 아이콘을 설치하고 활성화 하세요.

그리고 설정 화면으로 들어가면 아래에 ‘Ads.txt‘와 ‘App-ads.txt‘ 두가지 항목이 생성 되었습니다. 우리가 필요한 것은 바로 ‘ads-txt‘ 이므로 바로 눌러서 접속합니다.

아까 ads.txt 파일에서 확인했던 애드센스 코드 내용을 그대로 붙여넣기 후 저장하면 마무리됩니다.
바로 적용했다고 해서 애드센스 사이트에서 보여줬던 ‘수익 손실 위험’ 문구는 바로 사라지지 않고 1~2일 경과 후 없어지게 됩니다.
가급적 직접 업로드 하는 것이 좋다
간편하게 플러그인 하나로 해결이 가능하지만 불필요하게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연결 되어 있는 플러그인이 증가하는 것은 사이트 속도면에서 좋지 않습니다.
어쩔 수 없이 FTP 접속이 불가할 경우를 제외하고 가급적 파일질라와 같은 FT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업로드하는 것을 추천합니다.